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의 실상을 알리기 위한 탈북민들의 대외 활동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언어 장벽을 극복하고 스피커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한송미 / 탈북민] <br>"제 소개를 하지 않았는데도 먼저 뉴스를 보고 알아봐주시고 용기를 주셔서 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." <br> <br>최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북한 인권 알리기 행사. <br> <br>서른 두 살의 탈북민 한송미 씨가 연단에 서서 북한의 실상을 영어로 폭로했습니다. <br> <br>2011년 탈북 당시만 해도 알파벳도 제대로 알지 못했지만 북한의 실상을 알리겠다는 일념 하에 어학원을 다니며 영어 공부에 매진하다보니 이제는 영어 연설은 물론이고 영어 책 출간까지 가능할 정도로 실력을 갖추게 됐습니다. <br> <br>[한송미 / 탈북민] <br>"북한에서 초등학교 1학년 밖에 못 나왔습니다. 그래서 ABCD도 몰랐어요. 길에 나가면 한글인데 이해를 못 하겠는 겁니다. 다 외래어로 쓰여 있어서." <br> <br>이에 앞서 미국 하버드대에서도 북한 실상을 영어로 고발하는 대회에 마흔 세 살의 김명희 씨가 참가했습니다. <br> <br>북한에서 겪은 참상과 1998년 탈북에 성공하기까지 겪은 인신매매와 강제 북송 등의 파란만장한 경험담을 영어로 당당하게 풀어 대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. <br> <br>[김명희 / 탈북민] <br>"저는 당시 할 수 있는 것이 없었습니다. 얼마 지나지 않아 저는 중국 공안 당국에 의해 북송됐습니다." <br> <br>영어로 해외무대에서 북한의 실상을 폭로하는 젊은 탈북민들이 늘면서 전문 양성기관도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최근 10년 간 이런 기관에 영어를 배우겠다고 찾아온 탈북민은 6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영어를 습득한 이들은 11개국에 진출해 '글로벌 행보'를 걷고 있습니다.<br> <br>[이은구 / 탈북민 영어 양성기관 공동대표] <br>"직접 영어로 얘기했을 때 영어권 사람들이 더 잘 이해하고 소통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고요. 탈북민들 또한 내 이야기를 영어로 이야기했다는 데 자신감을 얻습니다." <br> <br>이런 사례가 늘다보니 'MZ 탈북민'에게 영어 공부는 필수처럼 여겨집니다. <br> <br>[김소연 / 탈북민(30·탈북 5년차)] <br>"(세계 무대서 연설하는 탈북민들이) 너무 부러운 겁니다. 내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세계를 상대로 말하고 싶어요." <br> <br>자신의 이야기를 세계에 전하려는 탈북민들. 언어 장벽을 뛰어 넘으려는 이들의 노력은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영수 <br>영상편집 형새봄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